맨위로가기

1940년 동계 올림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0년 동계 올림픽은 1936년 삿포로에서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나, 중일 전쟁 발발로 인해 일본이 개최권을 반납하면서 취소되었다. 이후 스위스 생모리츠,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이 대체 개최지로 논의되었으나, 스키 강사 문제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모두 무산되었다. 삿포로는 1972년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여 1940년 올림픽 무산 이후 동계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40년 동계 올림픽
대회 정보
대회 명칭제5회 동계 올림픽 경기 대회
영칭/별칭V Olympic Winter Games
1940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 포스터
1940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 포스터 (개최 예정 당시)
개최 도시삿포로, 일본 (개최권 반납으로 미개최)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바이에른 주, 독일 (취소됨)
장크트모리츠, 스위스 (취소됨)
참가국 및 지역 수개최권 반납으로 미개최
참가 인원미개최
경기 종목 수미개최
개막식 (예정)1940년 2월 3일
폐막식 (예정)1940년 2월 12일
개회 선언미개최
선수 선서미개최
심판 선서미개최
최종 성화 봉송 주자미개최
주 경기장미개최
올림픽 연혁
이전 동계 올림픽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936 (독일)
다음 동계 올림픽장크트모리츠 1948 (스위스)
코르티나담페초 1944 (취소) (이탈리아)
이전 하계 올림픽베를린 1936 (독일)
다음 하계 올림픽런던 1948 (영국)
헬싱키 1940 (취소) (핀란드)

2. 역사

1936년 3월 삿포로시가 제5회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지만,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 제국은 1938년 7월 올림픽 개최권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반납했다.[1]

IOC는 192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던 스위스 생모리츠에 개최권을 넘기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스위스 측은 스키 강사를 프로 선수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IOC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올림픽 개최가 다시 취소되었다.[1]

1939년 6월, IOC는 1940년 동계 올림픽 개최권을 1936년 동계 올림픽이 열렸던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으로 넘겼으나,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1월에 동계 올림픽은 취소되었다.[2] 같은 이유로 1939년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에서 열리기로 한 1944년 동계 올림픽도 1941년에 취소되었다.

이후 생모리츠는 1948년 동계 올림픽을, 코르티나담페초는 1956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다. 독일은 1936년 이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지 않았다. 2011년 7월 6일, 뮌헨은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 경쟁에서 대한민국 평창군에 패하여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 실패하였다.

2. 1. 개최지 선정 과정

1936년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총회에서 1940년 도쿄 올림픽 개최지가 일본 도쿄로 결정되면서, 당시 올림픽 헌장에 따라 하계 올림픽 개최국이 동계 올림픽 개최지 우선권을 가졌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일본이 동계 올림픽 개최 후보지로 떠올랐다.[3] 전일본스키연맹은 삿포로시를, 일본 스케이트 연맹은 도쿄에 가까운 닛코시를 추천했고, 키리가미네, 노리쿠라, 시가고원, 스가다이라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었다.[3] 일본 체육 협회는 '동계 경기 조사 위원회'를 통해 삿포로를 제1 후보로 결정했다.[3]

하지만,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올림픽에서 알파인 스키 강사를 프로 선수로 간주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주지 않는 IOC의 방침과 이에 반대하는 국제 스키 연맹(FIS)의 대립, 일본의 개최 능력 부족에 대한 우려, 노르웨이의 강력한 개최 주장 등으로 인해 논의가 이어졌다.[4] 1937년 바르샤바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걸어 삿포로 개최를 가결했다.[5]

  • 일본의 개최가 어려워질 경우, 다음 해 3월에 열리는 IOC 카이로 총회까지 결정되면 노르웨이에서 개최한다.
  • 소에지마 미치마사(副島道正)는 노르웨이의 개최 의사를 일본에 전달하고, 가능한 노르웨이에 개최권을 양보해야 한다고 전한다.
  • 노르웨이는 하계, 동계 올림픽을 분리하는 (1944년 대회 이후 하계, 동계 개최국을 별도로 정하는) 올림픽 헌장 개정안을 카이로 총회까지 보류한다.


이후 나카지마 공원에 야외 스케이트 링크를 건설하고, 진자야마에서 봅슬레이 코스를 측량했으며, 무선 전화 및 텔레비전 방송 연구 등 준비를 진행했다.[6] 1938년 1월에는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올림픽 감독이자 도쿄 올림픽 기술 고문인 베르너 클링게베르크가 삿포로의 준비 상황을 시찰했지만, 문제점을 지적하지는 않았다.[3]

1938년 3월, 카이로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클링게베르크의 지지와 더불어 '삿포로 그랜드 호텔 100명분 증축', '고등 소학교를 신축하여 선수촌으로 사용', '선수 대우비로 1인당 500JPY을 외국 선수 및 임원에게 지급' 등의 지원책을 표명하여 삿포로 개최가 정식으로 결정되었다.[3]

2. 2. 삿포로 개최 확정과 준비

1936년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총회에서 1940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가 일본 도쿄로 결정되었다. 당시 올림픽 헌장하계 올림픽 개최국에게 동계 올림픽 개최지 우선권을 부여했기에, 전일본스키연맹은 삿포로를, 일본 스케이트 연맹은 도쿄 인근 닛코를 적합지로 제안했다. 이후 키리가미네, 노리쿠라, 시가고원, 스가다이라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었고, 일본 체육 협회는 1936년 3월 18일 '동계 경기 조사 위원회'에서 삿포로를 제1 후보로 결정했다.[3]

하지만,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올림픽에서 유력 스키 선수들의 출전 불가 요인이었던 알파인 스키 강사의 프로 선수 간주 문제로 인한 IOC와 국제 스키 연맹(FIS)의 대립, 일본의 개최 능력 부족 우려, 노르웨이의 강력한 개최 주장 등으로 논의가 이어졌다.[4] 1937년 바르샤바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삿포로 개최가 가결되었지만, 다음과 같은 조건이 붙었다.[5]

  • 일본의 개최가 어려워질 경우, 다음 해 3월 IOC 카이로 총회까지 결정되면 노르웨이에서 개최한다.
  • 소에지마 노리마사(副島道正)는 노르웨이의 개최 의사를 일본에 전달하고, 가능한 노르웨이에 개최권을 양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노르웨이는 하계, 동계 올림픽 분리 (1944년 대회 이후 하계, 동계 개최국 별도 선정) 올림픽 헌장 개정안을 카이로 총회까지 보류한다.


이후 삿포로는 나카지마 공원에 야외 스케이트 링크를 건설하고, 진자야마에 봅슬레이 코스를 측량하며, 무선 전화 및 텔레비전 방송 연구 등 준비를 진행했다.[6] 1938년 1월에는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올림픽 감독이자 도쿄 올림픽 기술 고문이었던 베르너 클링게베르크가 삿포로의 준비 상황을 시찰했는데, 문제점을 지적하지는 않았다.[3]

1938년 3월, 카이로 IOC 총회에서 클링게베르크의 지지, 삿포로 그랜드 호텔 100명분 증축, 고등 소학교 신축 후 선수촌 사용, 선수 대우비 1인당 500JPY 지급 등의 지원책을 통해 삿포로 개최가 최종 확정되었다.[3]

2. 3. 개최권 반납과 대체지 논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고 전황이 악화되면서, 일본 제국 내에서는 개최 반대 여론이 높아졌다.[7] 육군은 물자 조달의 어려움을 우려했고, 중일 전쟁의 상대국인 중화민국 선수단의 출전 문제도 걸림돌이었다.[7] 또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 국제스키연맹(FIS) 간의 아마추어 규정 갈등으로 스키 경기가 무산될 위기에 처하면서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가 불투명해졌다.[7]

일본은 서구 각국 스키 연맹 임원들에게 스키 경기 부활을 호소하여 지지를 얻었지만,[3] 국가 총동원 체제 하에서 대회 개최에 대한 부정적인 분위기가 팽배했다.[8] 일본 정부는 대회 보조금 결정을 미루었고,[8] 결국 1938년 7월 14일 후생성 회의에서 개최권 반환을 결정, 다음 날 각의에서 이를 확정했다.[6][4] 7월 16일에는 개최 중지를 발표하고, 17일에 실행위원회를 해산했다.[8]

IOC는 삿포로를 대신하여 192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던 스위스 생모리츠를 대체 개최지로 선정했다.[1] 그러나 스위스 측은 스키 강사를 프로 선수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IOC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어 개최가 다시 취소되었다.[1]

1939년 6월, IOC는 1936년 동계 올림픽이 열렸던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을 새로운 대체지로 선정했다.[2] 그러나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고, 결국 11월에 동계 올림픽은 취소되었다. 1944년 동계 올림픽 또한 이탈리아 코르티나 담페초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1941년에 취소되었다.

2. 4. 전후 동계 올림픽 개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첫 동계 올림픽은 1948년 동계 올림픽으로 1948년에 중립국으로서 전쟁에 참전하지 않았던 스위스의 생모리츠에서 개최되었다.[1] 1956년 동계 올림픽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에서 개최되었다.[2]

2. 5. 삿포로의 재도전과 1972년 동계 올림픽 유치

1964년 하계 올림픽의 도쿄 개최 결정은 삿포로시에서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려는 움직임에 불을 지폈다. 1956년 삿포로 시의회에서 동계 올림픽 유치 제안이 나왔고, 1957년에는 동계 올림픽 유치 의견서가 가결되었지만, 재정 문제로 인해 입후보하지는 못했다.[8]

1959년 전일본 스키 연맹으로부터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와 동계 올림픽 개최를 제안받았고, 1960년에는 IOC 에이버리 브런데지 회장이 "일본에서 동계 올림픽을 개최한다면 삿포로 지역이 적합하다"는 담화를 발표하면서 하라다 요사쿠 삿포로 시장이 유치에 긍정적인 의사를 보였다. 1961년, 삿포로 창건 100주년에 해당하는 1968년 개최를 목표로 유치위원회를 설립했다.[8]

도요히라 정과의 합병을 염두에 둔 대규모 종합 계획 추진의 명분으로도 활용하려 했으나,[10] 1968년 대회 유치에는 실패했다.[8][11] 유치 활동에 약 7500만의 거액이 투입된 탓에 시장에 대한 불신임안이 제출되기도 했지만,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최 지지 여론이 강했고,[10] 도쿄 올림픽의 성공으로 유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다시 입후보하여,[8] 1966년에 1972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 성공, 1940년 대회가 중단된 지 32년 만에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게 되었다.[4][11]

3. 주요 경기장 계획 (1940년)

4. 한국과 동계 올림픽

2011년 7월 6일,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에서 대한민국 평창이 독일 뮌헨을 제치고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으며, 특히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남북 관계 개선의 중요한 성과로 보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Book of the Winter Olympics 1998. Aurum 1998
[2] 학술지 Session of 1939, London
[3] 학술지 1940年幻の札幌オリンピック招致運動について https://hdl.handle.n[...] びわこ成蹊スポーツ大学
[4] 뉴스 ことばマガジン 昔の新聞点検隊 幻の大会から32年 よみがえった札幌五輪 http://www.asahi.com[...] 朝日新聞DIGITAL 2014-01-21
[5] 뉴스 オリンピック・二大事項 ワルソー会議で本極り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1937-06-11
[6] 웹사이트 戦火に消えた幻のオリンピック https://www.city.sap[...]
[7] 웹사이트 【1940年、幻の東京五輪】(6)スキーのない札幌五輪!?万博とともに五輪返上が決まる痛恨 https://smart-flash.[...] 2016-06-16
[8] 서적 第一章戦後札幌の市政と行政 第九編大都市への成長 第四節国際交流と札幌オリンピック大会 札幌市 2002
[9] 서적 さっぽろ文庫75札幌の冬 北海道新聞社
[10] 서적 第五集ほっかいどう百年物語 中西出版
[11] 웹사이트 札幌オリンピックの歴史 http://sapporo-olymp[...]
[12] 웹사이트 もうひとつの「幻の五輪」 https://www.70see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